흘러들어온꿈

[뒤척이다] 성별이분법의 공간에서 뒤척이다

공현 2008. 2. 2. 00:25

[뒤척이다] 성별이분법의 공간에서 뒤척이다

기사인쇄
루인(runtoruin@gendering.org)



작년 12월 말, 성전환자인권연대 지렁이에서 메일을 담당하던 한 운영위원이 ‘전국인권활동가대회’에 참여하겠느냐는 제안서를 받았다고 알려줬다. 작년 11월 4일 발족한 성전환자인권연대 지렁이 이전엔 어떤 단체에서도 활동한 경험이 없었기에 이런 제안은 낯설고 반가웠다. 기획서와 제안서는 참여하고픈 바람을 일으키기에 충분했지만, 어디서나 경험하는 갈등을 이 기획서를 통해 또다시 겪었다. 방 배정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화장실 사용은 어떻게 되는지…….

숙박에 기반을 두는 행사의 상당수가 여러 명이서 한 방을 사용하는 형태를 취하고 그 기준은 대체로 “남성”들끼리 혹은 “여성”들끼리이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이런 식의 성별이분법에 부합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나 트랜스젠더/성전환자들 중엔, 이런 방식의 방 배정에 직면하면, 암담한 느낌을 받는 이들도 있다. 화장실 사용과 관련해서도 마찬가지인데, 두 개의 성별로 낙인찍는 사회구조에서 어떤 성별표지의 공간을 사용할지는 매번 갈등하는 문제이다. 그래서 활동가대회에 참여하기 위해선 이 두 가지 고민을 선결해야 했다.

준비모임에 이와 관련한 메일을 보냈고, 준비모임 회의를 참관하며 같이 논의하기로 했다. 지렁이 측에서 제시한 ‘대안’은 지렁이가 두 개의 방을 사용하는 것이었다. 모든 트랜스젠더/성전환자를 트랜스남성/ftm과 트랜스여성/mtf로 나눌 수 없음에도(나의 경우, 자신을 트랜스여성도 트랜스남성도 “제 3의 성”도 아닌 트랜스라고 얘기한다), 성별이분법의 구조에서 둘로 나눠야 하는 구조와 협상한 것이었다. 하지만 이런 ‘당연’한 요구는, 받아들이는 측의 태도와는 상관없이 “과도한 욕망”처럼 여겨질 까봐 조심스러웠고 말을 꺼내기까지 상당히 망설였다. 다행인지, 준비모임 측에서 적극적으로 방 2개를 우선적으로 배정한다고 했다. (화장실이나 샤워실은 방마다 있었기에 더 얘기할 필요가 없었다.)



여전히 ‘그 표지’는 강하다

사진설명저 그림을 마주하는 순간 머뭇거려진다. 난 어디로 가야할까?
이렇게 ‘순조’롭게 진행되는 듯했던 대회참가는 첫날 행사장소에 도착하는 순간부터 그렇지 않았음을 깨달아야 했다. 행사장소에 오후 2시에 도착했고 방 배정은 저녁 식사시간인 6시에 하기로 했다. 행사장에 도착한지 얼마 안 지나, 나는 화장실에 가려다가 화장실 입구에서 돌아서야 했다. 층마다 있는 화장실엔 “남성용”과 “여성용”을 의미하는 표지가 무겁게 붙어 있었고, 그 표지를 접하며 어디에도 들어갈 수 없었다. 자기소개시간을 통해 성전환자인권연대 지렁이 활동가라고 밝힐 테니, 그때가 되면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을까, 고민했지만 아니었다. 지렁이가 트랜스젠더/성전환자만 가입할 수 있거나 활동하는 단체도 아니거니와, “나는 트랜스이다”라고 커밍아웃을 한다고 해도 커밍아웃을 통해 내가 상대방에게 요구하는 고민의 정도와 이런 커밍아웃을 받아들이며 상대가 고민하는 정도 사이엔 (당연히) 상당한 괴리가 있기 마련이고, 단순히 혼자만의 커밍아웃으로 끝낼 문제가 아니라고 판단했다.

행사 참여를 결정하며 의제로 설정하기로 했기에, 함께 행사에 참여한 지렁이의 다른 활동가들과 이 문제를 논의했고, 전체 참가자들과 논의한 결과 강당이 있는 2층은 표지대로 사용하지만, 방 배정을 하는 6시까지에 한해 3층 화장실의 성별 표지는 무시하고 공용화장실로 사용하기로 했다.

그렇게 해서 3층 화장실을 이용했느냐면, 그렇지 않다. 사실, 왜 방 배정 이전까지 화장실에 가지 않았느냐고 물으면, 아직도 잘 모르겠다고 밖에 달리 더 할 말이 없다. 왜였을까? 물론 몇 가지 가능한 대답들은 있다. 일테면, 3층 화장실을 사용하는 건 자신의 ‘정체성’과는 상관없이 “나는 트랜스젠더/성전환자이다”라고 커밍아웃/아웃팅을 하는 격이다. 화장실과 관련한 문제제기를 지렁이 측에서 했고, 그래서 트랜스젠더/성전환자가 아니어도 3층 화장실을 사용하는 것 자체로 “나는 트랜스젠더/성전환자이다”란 의미가 발생할 수 있었다. 층을 구분함으로서 구별 짓기가 발생한 셈이다.

이런 주변 인식들을 개의치 않는다고 해서 3층 화장실에 성별이분법의 표지가 없는 건 아니었다. 그 표지는 여전히 강하고도 무겁게 출입을 통제하고 있었다. 여성도 남성도 아니라고 얘기하는 나는 그 화장실 표지 앞에서 여전히 망설일 수밖에 없었다. 3층 화장실은 공용이고 성별이분법 표지를 한시적으로 무시하자고 ‘합의’했다지만, 화장실 구조는 이러한 이분법의 하나에 포함될 것을 요구하고 있었다. 3층 화장실을 공용으로 사용하면 될 거라는 당시의 믿음은 ‘당시의 믿음’에 지나지 않았다. 결국은 화장실 구조 자체에 의해 어느 하나를 선택해야 했다.

어느 하나를 선택했고 그래서 사용한다고 해도 여전히 남는 문제가 있었다. 들어갈 때 혹은 나올 때 누군가와 마주치면 어쩌나 하는 걱정이었는데, 어느 한 쪽을 ‘선택’했는데 그런 선택을 누군가가 알게 되는 순간, 그런 ‘선택’에 의해 나의 성정체성이 박제될 거라는 걱정이었다. 일테면 “여성용”이라는 표지가 붙어 있는 화장실을 사용하고 나왔다면 나는 “여성” 혹은 트랜스여성/mtf로 간주될 것이고, “남성용”이라는 표지가 붙어 있는 화장실을 사용하고 나왔다면 “남성” 혹은 트랜스남성/ftm으로 간주될 지도 모른다는 것. 이 대회에서 만큼은 화장실을 사용하지 않고 참으면 참았지 이렇게 구획되긴 싫었다. (물론 이러한 화장실 표지를 항상 동일한 방식으로 해석하지는 않는다.)

이것이 다냐면 물론 아니다. 아직도 몸 어딘가에서 피어나려는 언어가, 당시 결국 가지 못하고 참아야 했던 몸의 흔적이 언어를 모색하고 있다. 왜 그랬을까?



나는 어디 ‘소속’인가

사진설명세상을 '양성'이라고 하는 두 종류로 구분하려고 한 것은 애시당초 불가능한 시도였다.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다양한 성적 지향에 맞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
방은 또 다른 고민거리였다. 대회 장소에 도착할 때까지 지렁이는 기본적으로 방 2개를 사용한다고 내정한 상황이었고 그래서 방과 관련한 고민을 할 거라고는 예상하지 않았다. 예상 참가자 수에 비추어도 그렇고 기본적으로 방이 부족할 이유가 없었다. 하지만 사람들은 예상 이상으로 참여했고 사용할 수 있는 방의 개수는 제한되어 있었다. 4명을 기준으로 짜던 방 배정은 5명으로, 급기야 6명이 들어가는 식으로 바뀌었고 그럼에도 3명이 참가한 지렁이에게는 여전히 2개의 방이 배정되었다.

지렁이 내부에서 방 배정과 관련한 회의를 하며, 가장 이상적인 건 참가자들 모두가 각 방을 사용하는 것이지만 “현실”적으로 이럴 수 없다는 걸 “알기”에 2개의 방을 요구하기로 했다. 그러며 화장실 문제처럼 이 역시 하나의 의제로 만들고자 했다. 단체 여행을 가면, 한 방에 여러 명이 함께 들어가서 생활하는 걸 너무도 당연시 여기는 방식, 그리고 이런 구분의 기준이 왜 다른 많은 것 중에 ‘오직 둘 뿐이라는 성별’(그 사람의 외형 혹은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첫 번째 숫자)이어야만 하는가라는 의제 설정. 트랜스젠더/성전환자이다, 아니다를 떠나서 다른 누군가와 함께 방을 사용하는 것 자체가 불편한 사람들도 분명 있을 테니 한국 사회에서 너무도 당연시 하는 이런 관습 자체에 대해 문제제기하고 이와 관련한 얘기들을 끌어내고 나눌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고 싶었다.

방 배정 문제는 계속되었다. 참가자들은 계속 늘어났고 방은 부족한 상황이었다. 결국 나에게 “혹시나 지렁이에서 방을 하나만 사용할 수도 있는지”라는 요지의 제안을 해 왔다. 물론 두 개를 사용해도 상관은 없다는 말과 함께. 이것은 제안을 받기 전부터 계속 하고 있던 갈등이었다. 이런 제안과 나의 갈등, 그리고 방 배정은 나의 모습-외형을 통해 상대방의 젠더를 판단하는 인식에 기인하는 측면이 있다. 만약 지렁이 측의 참가자가 모두 트랜스젠더라면 적어도 외형 상 세 명 모두 트랜스남성/ftm으로 간주되는 외형을 지니고 있었고 나를 지렁이 활동가로 소개했지, 다른 어떤 식으로 ‘분류’할 수 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이런 상황을 짐작하며, 방이 부족하다는 것, 그럼에도 나는 혼자서 방 하나를 사용할 예정이라는 것에 따른 고민들. 결국 나는 지렁이의 다른 활동가들과 상의한 끝에 다른 지렁이 활동가들과 함께 방을 사용하기로 합의했다.

두 개의 방을 요구하고 각 방을 주장하려고 했던 건, 서로가 다른 성별이어서만도 아니고, 흔히 “이성애자”들이 얘기하는 성적 불안/성적 긴장 때문도 아니다. 모든 트랜스젠더/성전환자가 이성애자는 아니며, 나 역시 성별이분법에 기반을 두고 있는 의미에서의 “이성애자”는 아니다. 어떤 의미에서 내겐, 적어도 성전환자인권연대 지렁이 활동가들이라면 방을 함께 사용해도 괜찮은 몸이었다. 내가 가장 피하고 싶은 상황은 자신은 트랜스젠더/성전환자가 아니라고 얘기하는 이들과 함께 방을 사용하는 것이었다. 어느 “성별” 혹은 “주민등록번호”와 방을 함께 사용할 수 있을까? 이른바 “남성”들? 하지만 난 자신을 “남성”으로 정체화하지 않으며, 맥락에 따라선 mtf라고 얘기하는데. 그렇다면 “여성”들과? 하지만 나의 몸은 “남성”으로 때론 ‘ftm’으로 여겨지는 외형이었다. 내가 가졌던 불안은 단순히 내가 경험할 불편이 아니라 나와 함께 방을 사용한다면 느낄지도 모를 다른 사람들의 불편을 짐작했기 때문이었다.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몸, 그리고 “남성” 혹은 “여성”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몸.

이러한 몸에서 출발하는 나의 갈등은 방을 두 개 요구하는 것이 너무도 당연하다고 얘기하면서도 이런 요구가 과도한 것은 아닌가하는 걱정과, 어떤 방은 6명씩 사용하는데 난 혼자서 방을 사용할 상황이라는 부담감과 겹쳤다. 그리고 이런 부담감이 소위 말하는 경제논리 때문인 건지, 여럿이서 방을 사용하는 것을 당연시하는 문화가 요구하는 “양심의 명령” 때문인 건지, 내가 준비모임에 속해 있어서 방 배정의 고충을 알고 있었기 때문인 건지, 방이 모자라는 상황임에도 혼자서 방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주는 부담감 때문인 건지 갈피를 잡을 수 없었다. 물론 어느 하나로만 얘기할 순 없고, 여전히 문자로 표현하기 힘든 이유들이 몸에서 돌아다니고 있지만.



그리고…

대회가 끝난 후, 1인1실 및 개별화장실제도와 함께 이런 이야기를 다른 누군가에게 한 적이 있다. 상대방은 신자유주의 사회라는 맥락과 함께 이 문제를 고민해야 한다고 얘기했다. 마냥 이런 식으로만 주장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장기적인 방향성을 설정하는 것과 지금 당장 협상할 방법 사이의 간극 메우기는 어디서 모색할 수 있을까. 이 고민이, 새벽까지 잠들지 못하고 한참을 뒤척이다 전국인권활동가대회 둘째 날을 맞은 이유이기도 하다.



(1) mtf/ftm과 MTF/FTM은 이것이 소문자와 대문자라는 표기 이상의 차이가 있다. 대체로 대문자로서 MTF/FTM은 흔히 설명하는 방식인 "남성에서 여성으로"(male-to-female)와 "여성에서 남성으로"(female-to-male)의 축약어라는 걸 나타내는 동시에, 대문자가 가지는 어떤 보편성, 대표성을 함의하기도 한다. 반면 소문자로서 mtf/ftm은 이것이 반드시 축약어는 아니라는 것, 그래서 때론 수식어로 사용할 수도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며, 나 역시 소문자로 사용한다. 트랜스여성과 mtf, 트랜스남성과 ftm 역시 그 의미가 다르다. 어떤 트랜스는 자신은 트랜스남성이지 ftm/FTM이 아니라고 얘기하고 어떤 트랜스는 자신은 mtf이지 트랜스여성는 아니라고 얘기한다. 이것은 개인마다 용어를 선택하고 사용하는 의미와 맥락이 다르기에 어떤 단일한 이유로 설명할 수는 없다. 다만, 자신은 한 번도 남성인 적이 없고 원래부터 여성이었다거나, 여성인 적이 없고 원래부터 남성이었다고 말할 때 조차, mtf/MTF와 ftm/FTM은 끊임없이 "남성m/M" 혹은 "여성f/F"이었음을 환기한다는 점에서 사용하지 않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만 해석하는 건 각각의 용어들이 가지는 의미를 지나치게 단순하게 만들 수 있고, 개개인들이 이런 식으로만 해석하지 않음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2) 모든 트랜스들이 수술이나 호르몬투여를 하는 것은 아니다. 호르몬투여 및 수술을 안 하는 사람부터 호르몬투여만 하는 사람, 가슴재구성수술은 해도 외부성기재구성수술은 안 하는 사람, 가슴 및 외부성기재구성수술을 하는 사람 등, 트랜스가 의료과정과 맺고 있는 관계는 꽤나 복잡하다. 그렇기에 호르몬투여를 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언젠가는 호르몬투여를 시작할 것이고 결국엔 수술을 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런 식의 설명과 부연 자체가 트랜스의 기준을 끊임없이 의료과정으로 환원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나 의료과정과 트랜스가 맺고 있는 관계가 중요하다는 점에서는 이런 설명이 여전히 유효하다.
덧붙이는글
루인 님은 성전환자인권연대 지렁이에서 활동하는 활동가입니다.
인권오름 제 40 호 [입력] 2007년 02월 06일 22:0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