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어가는꿈

청소년운동, 정당운동, 청소년당원

공현 2015. 1. 30. 18:15



1. 2005~6년 시점, 청소년운동 자체가 제자리걸음을 넘어서 나아가려고 할 때, 그리고 반대로 민주노동당은 역대 최대의 영향력이 있을 때, 그 시점에서 정책정당으로서 민주노동당은 청소년운동 성장에 적잖은 보탬이 되었다.  학생인권법이든, 학생자치이든, 입시폐지대학평준화이든.

2. 그러나 역시 그 시점에도 조직력 면에서는 정당운동이 그다지 청소년운동에 도움이 되지는 않았음을 기억해야 한다. 2003~5년 진청련으로 대표되는 가능성은 다양한 요인으로 사장되었고, 민주노동당 청소년위원회는 21세기청소년공동체희망을 비롯하여 청소년운동 조직에게서 사람을 받았지, 반대가 아니었다. 한국의 정치적 조건에서 정당운동은 청소년들을 조직하는 데 별다른 이점이 없다.

3. 그렇다면 진보-좌파정당이 최소한 청소년운동을 다른 사회운동과 연결시키고 다른 사회운동에 청소년운동을 침투시키는 역할이라도 했는가? (말하자면, 결집장소로서) 그런 기능이 활발해진 건 오히려 2008년 이후이고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분당으로 상대적으로 힘이 약했을 때이며, 그 성과가 정당이라는 기구의 작동 덕분인 게 있는지는 다소 의심스럽다. (운동의 성장, '촛불'이라는 환경, 학생인권조례와 일제고사 등의 이슈의 개입, 청소년활동가들 개개인의 정당활동 확대... 등의 요인이 있겠지만)

4. 운동 동력 차원으로만 한정한다면, 힘의 화살표는 여전히 청소년운동 => 정당운동이지, 정당운동 => 청소년운동이 아니다. 청소년운동 <=> 정당운동이라고 보기도 어렵다. 그걸 인정하고 그 다음에 정당에서의 청소년운동이나, 청소년운동의 정당 개입을 생각해야 한다.

5. 영향력이 미미한 특정 정당에서의 청소년당원의 지위 인정 여부는, 그 청소년당원들의 인권 문제일 수는 있어도, 청소년운동이나 사회적 의미가 크다고 하긴 어렵다. 운동에서의 의미를 따진다면 어느 한 학교에서의 체벌 사건 수준일 것이다. 청소년운동이 바꾸려고 하는 건 애초에 (제도적, 사회적 근거가 아니라) 지도부의 선의에 의해서나 인정받을 수 있다는 그 상황 자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