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어가는꿈

시험에 익숙해지는 것과 저항에 익숙해지는 것

공현 2008. 11. 22. 03:05


시험에 익숙해지는 것과 저항에 익숙해지는 것




  중고등학교 때, 아무리 시험을 많이 봐도 익숙해지지 않는 게 있었는데 그건 어느 샌가 시험 문제 풀이에 몰두해 있는 저 자신의 모습이었습니다. 마치 온라인 게임을 하다가 까다로운 퀘스트를 받았을 때처럼, 보기 중에서 확실하게 답이 아닌 것들을 차례차례 지움으로써 정답에 근접해가면서 때로는 운에 맡긴 찍기를 감행하면서 그 결과에서 스릴을 느끼기도 하고, 주어진 시간과 문제 수를 가늠해보면서, 게임을 하듯이 어쩌면 즐기듯이 시험문제를 푸는 것이지요. 시험 보는 모드가 따로 있달까요. 그런 제 모습을 시험을 보고 있을 때는 스스로 잘 모르지만, 시험이 끝나고 나서 제 모습을 돌아보면 낯설게 느껴지고 맙니다.
  그런 태도는 실로 '이중적'이지요. 저는 평소에는 교과서 속의 지식들과 입시를 위한 수업과 점수와 등수를 위한 시험들에 시니컬한 태도를 취하고 까칠한 비판을 서슴지 않으면서도, 정작 시험 문제 앞에 서면 문제풀이에 몰두해버리고 만다는 겁니다. 물론 때로는 제 양심에 직접적으로 도전해오는 문제들(도덕이나, 사회나, 때로는 국어에서도)을 만나서 분노하며 일부러 오답인 줄 알면서 제 양심을 따르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그런 경우가 많지는 않습니다. 결국 이러쿵 저러쿵 변명할 것 없이, 이건 제 이중적인 삶의 태도이고, 이런 것이 제가 이 엿 같은 교육 속에서 몸에 익혀버린 순응 방식이라고 생각한다면, 정말 토 나오는 일입니다.


  10월 14일 아침, ‘일제고사’(“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란 그럴 듯한 이름이긴 했지만, 어쨌든 일제고사. 10월 14~15일에는 초6, 중3, 고1 세 학년이 치렀습니다.)에 반대하며 등교거부를 선언하며 ‘무한경쟁 일제고사 반대 세이노(Say No)’(여기에 제가 활동하고 있는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 서울지부도 같이 했지요)에서 연 서울시교육청 앞 기자회견에는, 약 40명 정도의 청소년들이 모였습니다. 그 중에는 일제고사를 보는 학년이면서도 시험을 거부하고 나온 학생들도 있었고, 일제고사를 보는 학년은 아니었지만 일제고사를 비롯한 줄세우기 무한경쟁 교육 정책들에 반대하는 것을 온몸으로 표현하기 위해 동참한 학생들 & 탈학교 청소년들도 있었습니다. 그날의 분위기는 그야말로 와글와글 웅성웅성 뜨끈뜨끈이었달까요. 앞에서 현수막을 들고 학교로 돌아가라고 하던 ‘학사모’(학교를 사랑하는 학부모 모임. 학생은 별로 사랑하지 않거나 사랑하는 법을 잘 모르는 학부모들.)가 초라해 보일 정도였습니다.


  모인 청소년들은 교육과학기술부가 있는 정부종합청사 정문 앞에 진을 치고 밥을 먹고 낮잠을 자고 수건돌리기, 사방치기를 하며 놀았습니다. 그것이 ‘퍼포먼스’라고 주장하면서 말이죠. 밥 먹고, 잠 자고, 노는 것이 일상이 아닌 ‘퍼포먼스’라는 건 어쩌면 슬픈 일입니다. 노는 게 지겨워질 즈음, 우리는 같이 일제고사 시험과 입시경쟁에 반대하는 모자이크 상징물을 같이 만들었습니다. 시험도 거부하고 학교도 안 가고 나온 청소년들은 1등부터 20등까지 등수를 들고 일렬로 서서 학생들을 성적으로 줄세우는 일제고사를 표현하며 청계광장까지 행진을 했습니다.(다들 그다지 주목하지 않은 것 같지만, 1, 2등에게는 금색가면 3, 4등에게는 은색가면, 그 뒤는 그냥 흰색가면을 씌우는 등의 작은 배려도 있었죠.) 저녁에는 일제고사 등 입시경쟁 교육정책에 반대하는 집회를 했습니다. 청소년들은 그 다음날인 15일에는 종각에서 입시경쟁교육을 없애고 우리가 원하는 교육을 만들라고 요구하는 퍼포먼스를 했습니다.





  비록 이번 일제고사가 내신 성적 같은 데는 들어가지 않는 시험이었다고는 해도, 시험을 거부하고 나온 청소년들이나 현장체험학습을 떠난 청소년들을 보면서, 그리고 비록 학교 가는 것 자체를 거부하고 나오지는 못했지만 시험에 백지를 내고 시험지에 “이명박 반대”, “일제고사 반대” 등을 썼던 청소년들의 이야기를 보면서… 저는 다시 저 자신의 모습에 대해 많은 생각을 했습니다. 시험에 적응(순응)해버렸고, 또 그런 스스로의 모습 때문에 씁쓸해했던 저에 비해, 그런 모습들은 얼마나 살아있는 것 같던지 말이지요.
  11월에는 ‘수능’이라는 이름의 고3&재수생 일제고사(물론 성적에 절대적으로 반영되는 일제고사지만…)가 있었고 12월에는 중1, 중2 일제고사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입시경쟁에 반대하며 수능을 거부한 청소년들도 있었고, 또 12월에도 일제고사를 거부하겠다는 청소년들도 있습니다. 문제풀이와 점수로 사람들의 가치를 평가하고 줄 세우겠다는 것을 거부하고 행동할 수 있는 청소년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등교거부나 시험거부라는 것 자체로 봤을 때도, 지난번에 5월 17일에 휴교시위를 하자는 문자가 돌았을 때 실제 참가자가 저조했던 것보다는 이번 10월 14일에 훨씬 많은 사람들이 참여했습니다. 시험과 입시에 익숙해지기보다는 등교를 거부하고 시험을 거부하고 집회를 하고 시위를 하는 것들에 익숙해지는 청소년들이 조금씩이지만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이겠지요?

  이렇게 순응보다 저항에 익숙해지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사회가 변화하는 것일 겁니다. 사람들이 시험 문제 풀이보다는, 저항에 더 익숙해지게 하기 위해 하는 것이 또 운동의 한 역할일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p.s. 가끔 “전집(전학생이 다 봄.)이 아니라 표집(몇몇 학생들만 ‘표본’으로 봄.)이어야 한다”라고 말하는 교사들이나 학부모들을 보고 있으면, (물론 전체가 다 봐서 등수를 좍 내는 것보다는 4%만 시험 보는 게 훨씬 낫긴 하겠지만,) 소수의 학생들을 실험동물로 삼겠다는 말로 들릴 때가 있습니다.
  그렇게 문제풀이를 시키면서 점수를 내서 ‘학력’을 평가하겠다는 발상 자체에 대해 까칠해져야 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