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어가는꿈

‘일제고사’도 사람을 죽입니다.

공현 2009. 1. 21. 18:24


‘일제고사’도 사람을 죽입니다.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 공현



  재작년에 초등학교 3학년인 사촌동생의 학교 공부를 잠시 봐준 일이 있었습니다. 이모에게서 약간의 돈을 받으면서, 국어, 수학, 사회 과목에 대해 며칠 정도 같이 공부를 한 거지요.(자기정당화를 위해 이렇게 빙 돌려서 표현하긴 했지만, 쉽게 말해 ‘과외’이고 ‘사교육’입니다. 한 달밖에 안 했다고 변명해보지만요.)

  그런데 그때 충격적인 일이 몇 가지 있었습니다. 같이 수학 문제를 푸는데, 수학의 내용들을 이해하려고 하지 않고 문제를 유형화시켜서 좀 비슷해 보이는 문제는 그 전에 썼던 식들을 그냥 가져다가 풀려고 하더군요. 왜 그렇게 하냐고 했더니 “이렇게 해야 시험 점수를 잘 받지. 시험 볼 때 시간도 없고….”라고 하더라구요. 초등학교 3학년인데요.

  이제 다음은 국어인데요. 같이 교과서에 나온 글을 읽고서, 딱히 정답이 있는 문제가 아니라 자기 가치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걸 사촌동생에게 물어봤습니다. 그런데 거의 주저하지 않고서 1번을 찍더라구요. 왜 1번이냐고 했더니 그 지문이 책에 나온 것이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책에 나온 게 아니라 니 마음에 드는 걸로 말해달라고 했더니 그래도 1번이라고 합니다. 이유를 물으니까 주저주저…. 제가 “나는 3번이 더 맘에 드는데?” 그랬더니 또 주저주저하다가 3번으로 고칩디다. 그래서 약간은 장난삼아 “4번이 갑자기 더 맘에 드네.” 그랬더니 사촌동생은 그럼 답은 3, 4번이라고 합니다. 제가 한숨을 쉬며 책에 나온 대로 살지 말고 네 마음에 따라 살아야 한다고 했더니, 사촌동생은 “그럼 시험에서 틀리는데?”라고 대답하더라구요.

  마지막으로 사회 과목이 남았죠? 사실 초등학교 사회 과목은 별 내용이 없고, 교과서에 나온 이야기들만 적당히 알아들으면 됩니다. 그런데 사촌동생이 자기는 사회 과목을 못한다고 하기에 사회 교과서 한 페이지를 펴서 같이 읽고 요약해봤는데 제법 잘 했습니다. 잘 하는데 왜 못한다고 생각하냐고, 제가 의아해하며 물었더니, 자기가 성적표의 “아주 잘함”, “잘함”, “보통”, “노력요함”의 평어 중에서 “보통”을 받는데 뒤에서 두 번째니까 못하는 거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제가 “보통”이면 못 하는 건 아니지 않냐고 했더니, 한사코 “잘”이 안 들어가서 아니라고 하며 자신이 사회를 못한다고 고집을 부리던데, 이건 웬 자기비하인지 잘 한다고 해도 결사적으로 자기는 못한다고 하니, 좀 난감하더라구요.



  어쩌면 제 사촌동생이 좀 ‘극성스러운’ 가정에서 성적에 대한 압박을 많이 받았기 때문에 특히 이런 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제 눈에는 그런 제 사촌동생의 모습이 당황스럽기는 했지만, 왠지 그리 특별해보이지는 않았습니다. 숨 막히는 입시경쟁의 현실에서 모든 공부를 시험 위주로 생각하고 자기 생각을 갖기보다는 ‘정답’을 찾으려 드는 데 급급한 모습이 뭐가 그리 특별하겠습니까.

  예, 이런 모습이 한국 교육입니다. 학원 뺑뺑이 속에 살던 초등학생이 “왜 어른보다 어린이가 쉬는 시간이 더 적은지 모르겠다. 나도 물고기처럼 자유롭게 살고 싶다.”라는 유서를 남기고 자살하고, 중학생은 “공부 공부 공부 공부 … 같은 곳에서 각기 다른 재능을 지닌 아이들이 오직 한 가지만 배우고 있었어. ‘대학 가는 법’…”이라는 유서를 남기고 자살하고, 고등학생은 “학교에서는 오직 시험 보기 위한 공부만을 가르치고 있다. … 친구들이 로봇처럼 보인다.”라는 유서를 남기고 자살하는 게 말입니다. 제가 처음 청소년인권운동을 시작했던 2005년에는 그런 유서들을 읽고 많이 울곤 했지만, 지금은 눈물도 잘 나오질 않아요. 하도 많이 봐서요. 게다가 굳이 직접 목숨을 끊는 방식을 택하지 않더라도, 우리 모두는 어떤 식으로든 이런 비인간적인 교육 속에서 자신을 죽여야 하지 않습니까? “고3 1년 동안 죽었다 생각하고 공부해라”라는 흔한 표현도 있잖아요? 저도 학교에 다니는 동안 우리들을 성적으로, 점수로 평가하고 대우하는 일들을 많이 겪었고, 저의 마음, 꿈 그런 것들 일부를 죽이거나 가사상태에 빠뜨려야했지요. 제 사촌동생도 그런 것 같지 않나요?



  그런데 작년부터는 1년에 수십일 수백일은 ‘시험기간’에 내어주는 학생들의 삶에 또 하나의 시험이 추가되었습니다. 보통 시험이 아니고 ‘일제고사’라는 특별한 시험입니다. 일제고사는 전국 같은 학년의 학생들이 동시에 같은 시험문제로 보는 형식의 시험을 말합니다. “국가단위 학업성취도평가”, “전국연합 학력평가” 등등 그럴 듯한 이름은 여럿 있지만, 여하간 전국 학생들과 학교들이 모두 자기 시험 점수에 따라 전국구로 줄 세워질 수 있는 시험들이 모두 일제고사입니다. 작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일제고사에 따른 학교별 성적들은, 지금은 공개되고 있지 않지만 곧 새로 시행되는 ‘학교정보공개법’에 따라 공개되고, 그 성적에 따라 줄 세워집니다.

  일제고사 시행에 대해 교육부나 교육청에서 내놓는 이런저런 구실들이 있습니다. “경쟁력 있는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학생들의 실력 향상을 위해”, “실력 부족한 학생들을 알아내서 지원하기 위해” … 하지만 실제로 그 시험을 보는 학생들에게 시험은 어떤 의미일까요? 점수가 좀 낮으면 혼이 나고, 시험 성적에 따라 사람의 가치가 결정되고… 점수나 등수가 표시되지 않는 지금의 초등학교 성적표조차도 입시경쟁 속에 살아가는 초등학생들에게는 “잘 함”을 못 받을까봐 노심초사하는 압박이 됩니다. 그런데 전국적인 등수가 나오는 일제고사는 얼마나 더 삶을 끔찍하게 만들까요? 초등학교보다 더한 입시경쟁 압박에 시달리고 있는 중고등학생들의 삶이 얼마나 더 나빠질지는 상상도 잘 되지 않습니다. 애초에 교육이 학생들의 발달이나 성장이 아니라 ‘시험문제 풀이 능력’과 ‘성적 향상’으로 평가될 수 있다는 발상이 이상한 노릇이지요.

  학교들에서는 벌써부터 일제고사를 대비해서 학생들에게 보충수업을 시키고 ‘일제고사 모의고사’를 보고 있습니다. 어떤 교육청은 일제고사 성적이 좋은 학교에 더 지원을 해서 성적이 안 좋은 학교·학생들을 알아내서 지원하기 위해서라는 일제고사의 명분조차 스스로 부정했습니다. 일제고사 성적 압박 때문으로 추측되는 학생 자살도 이미 보도된 바 있습니다. 일제고사의 악몽입니다. 사람 잡는 살인교육에, 일제고사가 더해지면 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더 죽어야 될까요?



  이런 일제고사 시험에 대한 우려를 편지로 써서 학생들과 학부모들에게 전달하고, 일제고사 시험을 볼지 보지 않을지 선택하시라고 한 교사들이 작년 12월, 교육청에 의해 파면당하고 해임당한 것은 들으셨을 것입니다. 학생들도 일제고사를 거부하며 직접 등교거부를 선언하기도 했습니다. 학생들의 정치적 활동이나 저항을 전혀 인정하지 않는 한국의 현실상 등교거부를 하지 못한 많은 학생들도 시험 문제를 풀지 않고 백지로 답안지를 내는 등, 일제고사 시험에 저항을 했습니다. 그러다가 징계하겠다는 위협을 당하거나 체벌을 당하는 학생들도 다수 있었고 말이죠.

  “어차피 세상은 경쟁이다. 일제고사로 자기 실력을 아는 게 차라리 낫다.”라고 하는 분들을 가끔 볼 때마다 갑갑해서 목이 메어옵니다. 해주고 싶은 말은 많은데,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모르겠어서 말들이 목에 걸리는 것입니다. “어차피 세상은 경쟁”이라고 말해버리기 전에, 그런 세상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의 불행을 좀 더 생각하면 어떨까요. 그리고 그런 불행을 없애기 위해 세상을 바꾸자고 말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일제고사를 도입하기보다는, 입시경쟁을 없애는 사회가 되길 바랍니다. 더 이상, ‘죽어야 하는’ 학생들이 없으면 좋겠습니다.











천주교인권위에서 소식지에 넣을 글로 요청해서 쓴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