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어가는꿈 696

청소년신문 요즘것들 창간호

청소년신문 요즘것들 창간호 (2014.06.27.) "이건 미친 짓이야! 난 이제 쉬어야겠어!" [그림 : 하루유키] 청소년신문 [요즘것들] 창간호 순서 특집 : "이건 미친 짓이야! 난 이제 쉬어야겠어!" [Special] 1. '넘사벽'인 한국 청소년의 학습시간 2. 시간강도, 강제학습 3. 놀고 싶어도 놀 수 없는 이유 [소식] 잘 쉬고 있나요? 서울, 인천 휴식설문조사 [소식] 학생이 '진짜' 원하는 교육 정책 [한컷태클] 스마트할 권리 [인터뷰] 청소년게임 셧다운, '참 별로라서' 소송 제기 [이슈] 수학여행 안 가는 게 안전이라고? [청소년의눈으로] 휴식을 은행적금 들 순 없는 거잖아요 [청소년24시] 1. 여전히 그치지 않는 체벌 / 2. 학교, 학생을 삥뜯다 / 3. 담배 피다 걸리면 강제..

걸어가는꿈 2014.07.02

[2030 잠금해제] 아직도, 독재다 / 공현

http://www.hani.co.kr/arti/SERIES/353/642410.html[2030 잠금해제] 아직도, 독재다 / 공현 " 얼마 전 지방선거 때, 경기도의 19살 미만 청소년들이 교육감 후보들을 초청해 “표는 없어도 할 말은 있다”라는 이름의 토론마당을 열었다. 교육감 후보 5명이 오겠다고 했으나 후보들의 사퇴와 번복 끝에 이재정, 정종희 2명이 참석했다. 그러나 선거관리위원회가 토론 현장에 나타나 딴죽을 걸었다. 후보가 참석하면 ‘사전선거운동’이 된다는 이유였다. 선거권 없는 청소년들과 토론하는 자리가 어째서 선거운동이냐고 항변해도 소용없었다. 결국 후보들은 인사만 한 뒤 자리를 떠야 했다. 한 선관위 직원은 이렇게 말했다. “선거권이 없는 청소년은 선거운동 기간에도 이런 걸 하면 안 된..

걸어가는꿈 2014.06.23

청소년신문 요즘것들 정기구독신청

[청소년신문 요즘것들] 정기구독 신청하세요! '새 학기 군기잡기', '조퇴할 권리 캠페인', '넘사벽 너무 긴 한국의 학습시간', '게임셧다운제 헌법소원을 낸 청소년 인터뷰'...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가 발간하는 [요즘것들]이 전한 이야기들입니다.다른 언론에서는 보기 힘든 청소년들의 삶과 인권을 전하는 신문,[요즘것들]이 정기구독신청을 받습니다! 구독신청 및 문의 http://yosm.asunaro.or.kr/5asunaro@asunaro.or.kr [요즘것들]은 약 2~3개월에 1회 청소년들의 생활주기를 고려하여 발간됩니다. 정기구독 신청을 하시면 5회동안 보내드립니다. (기간 약 1년) 정기구독자 분들께는 부수에 따라 배송료 일부만큼의 구독료를 받습니다. 1회 1~10부 : 4천원 1회 11~100..

걸어가는꿈 2014.06.19

안전을 권리로 생각하기 : 학생인권과 안전

http://www.konkang21.or.kr/bbs/board.php?bo_table=cate1&wr_id=136 안전을 권리로 생각하기 : 학생인권과 안전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 공현 다 시, 안전이 화두다. 과거에도 ‘학생간 폭력’(통칭 ‘학교폭력’)이 이슈가 되었을 때, 아동에 대한 성폭력이 이슈가 되었을 때 등 조금씩 다른 맥락에서, 그러면서도 주기적으로 학생의 ‘안전’은 수면 위로 떠오르곤 했다. 그리고 다시 세월호 참사. 커다란 사고와 비극 앞에서 사람들은 다시 안전을 이야기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가 마주한 사고가 너무나도 압도적이기 때문일까. 안전교과 신설, 수영교육 강화, 수학여행 금지 등 쏟아져 나오는 여러 가지 대책들은 어딘지 공허해 보인다. 안전, 중요하지만 망설이게 되는 안 전할..

걸어가는꿈 2014.06.11

청소년활동기상청 활기 소식지 '활력소' 제2호

활기에서 같이 만드는 소식지 '활력소'청소년운동의 각종 소식들을 모아서 전달하고청소년활동가들을 소개하는 컨셉의 소식지다. [소식들] 지방선거, 노동절 등을 맞아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 (2014.03.30.~2014.05.30.) 5월 1일 노동절, 그리고 6월 4일 지방선거 등 여러 가지 일들이 있는 때였고 그에 따라 다양한 활동이 있었습니다. 또한 4월 16일에 안타까운 세월호참사가 있었죠? 세월호참사에 관련해서도 청소년들이나 청소년단체들의 활동이 있었습니다. 또한 활기에서 '그맘 알아요' 지원 신청 2차 접수를 시작했다는 반가운 소식도! (by 공현) [목소리들] "(우리) 아이들에게 핵 없는 세상을" 논쟁, 셧다운제/청소년 참정권 헌법재판소 판결 등 (2014.03.30 ~ 2014.05.30.) ..

걸어가는꿈 2014.06.02

[논평] 세월호 참사가 교육에 남긴 교훈 - 교육감 선거에 즈음하여

[논평] 세월호 참사가 교육에 남긴 교훈 - 교육감 선거에 즈음하여 경쟁교육과의 결별과 학생인권 보장 없이 안전한 학교란 없다. 세월호 참사가 일어나고 한 달 보름의 시간이 흘렀다. 우리는 그동안 세월호에 과적된 탐욕과 부패만큼이나 무거운, 이 나라의 조직적 무책임과 지독한 반인권성을 목도해 왔다. 세월호 참사의 원인을 단 하나로 돌릴 수 없듯, 참사로부터 우리 사회가 얻어야 할 교훈이 하나로 수렴될 순 없다. 다만 이틀 앞으로 다가온 교육감 선거에서 후보들이 앞 다투어 학생 안전을 책임지겠다 호언장담하는 상황에서 세월호 참사가 우리 교육에 남긴 교훈을 환기해본다. 침몰한 세월호는 침몰해버린, 지금도 침몰하고 있는 학교의 모습과 정확히 닮아 있다. 이윤을 위해 각종 안전조치를 삭제해버린 국가의 모습은 입..

걸어가는꿈 2014.06.02

세월호 참사에 청소년운동의 대응 방향에 관한 생각들

세월호 참사에 청소년운동의 대응 방향에 대해서 여럿이 이야기하지만 결국 끝내 정리되지 않는 문제에 대해서. 왜 대응하고 싶다는 사람들은 아무도 나서서 제안하지 않는가에 대한 분노를 안고. 1) 세월호 참사 자체에 대해서 - 제 생각으로는, 세월호 참사 자체는 학생/청소년인권 문제가 아닙니다. 논쟁의 여지가 없지는 않지만요. 다만 보편적인 인권 문제의 영역에 속하기는 할 것입니다. 마치 한미FTA가, 신자유주의가, 의료영리화가, 광우병위험이, 지구온난화가, 전쟁 위협이 보편적인 인권 문제이기는 하듯이요. 굳이 청소년인권이라는 특수성을 강조하지 않으면서 우리가 입장을 만들 수 있다면 보편적인 인권의 관점에서, 어쨌건 청소년도 사람이라 연관이 되기는 하기 때문에 이러한 안전할 권리의 문제에 관해 이야기를 하는..

걸어가는꿈 2014.05.29

학생 휴식에 관한 서울지역 학생 설문조사 (2014년 5월 17일~6월 14일)

학생 휴식에 관한 서울지역 학생 설문조사 기간: 2014년 5월 17일~6월 14일 대상: 서울지역 중·고등학생 누구나 방법: http://rest.asunaro.or.kr/ 에서! 2014 서울, 학생 휴식은 안녕? 질높은 삶을 위해서는 충분한 수면과 휴식이 필요하죠! 누구나 적절한 휴식을 취할 권리가 있습니다! 학생들에게도 휴식과 여가를 누릴 수 있는 충분한 시간과 환경이 제공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학교, 학원, 숙제, 야자... 제대로 쉬기엔 방해물이 너무 많지 않나요? 선생님, 부모님의 눈치없이, 공부와 시험의 압박없이 잘 쉬고 있나요? 학생에게도 충분한 휴식을 보장받기 위해서, 설문조사에 참여해주세요! [어떻게 발표 되나요?]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학교를 다닌다면? htt..

걸어가는꿈 2014.05.28